▶위치기반 서비스(Location Based Service, LBS)는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망과 IT기술을 활용한 위치정보 기반의 서비스입니다.
▶일반인들이 가장 쉽게 위치기반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어플의 위치기반서비스 활용은 GPS와 연계된 정보공유와 접근방법의 확대입니다.
▶ICT 세계시장에서 부문별 증가율 추이를 보면 HW와 통신서비스는 증가율이 낮고, SW와 IT서비스는 증가율이 높습니다. [출처: KG아이티뱅크]
▶부문별 비중 추이를 보면 HW와 통신서비스는 감소 추세이고 SW와 IT서비스는 증가 추세입니다.
ICT 세계시장에서 SW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.
▶세계 각국 업체는 시장 선점 및 점유율 확대를 위한 경쟁이 시작되었으며, IoT의 응용 분야는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다. IoT Analytics는 세계 IoT 시장의 상위 5대 활용 영역을 스마트시티, 스마트팩토리, 커넥티드 빌딩, 커넥티드 자동차, 스마트 에너지로 구분하였으며, 단말 대 클라우드 통합, 시민감망(TimeSensitive Network, TSN) 연결, IoT와 블록체인의 결합과 같은 기술 개발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
▶사물인터넷 시장은 도시와 산업구조를 재편하는데 크게 역할하며 가파르게 성장할 전망
▶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oT Analytic Research는 전세계 사물인터넷 시장규모가 2017년 1,100억달러에서 2025년 1조 5,670억달러로 연평균 39.4% 성장할 것으로 예상
▶품목별 세계시장을 보아도 PC, 스토리지, 프린터는 감소 추세인데 반면 모바일폰과 모바일 컨슈머 시장은 상승하는 추세이며, 응용 SW도 연평균 8.2%로 크게 상승하여 2021년 2,397억 달러에 이를 전망입니다.
▶하우코리아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'FUN'으로 시작하였습니다.
재미와 기술이 결합되는 서비스를 우선합니다.
▶'위치기반 자동차 레이저'도 주차된 자동차를 찾을 때 열고 닫는 소리가 공간적인 제약을 가져온다고 판단하였습니다.
▶이런 전제로 ICT사업은 시작되어 위치기반 '자동차 레이저 발광장치'가 시작되었습니다.
▶여기에 위험, 경고, 기능을 더한 것이 '자동차 레이저 경고장치'입니다.
▶재미를 더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수저를 받침 없이 놓을 수 있는 '떠있는 수저장치'입니다.
▶하우코리아는 ICT사업 분야에 실용에 재미를 더하는 서비스로 더 나아가고 있습니다.
▶더 '엔터테이먼트'적인 요인이 들어간 서비스로 나아가는 것을 추구합니다.